일본의 오사키 요시오 작가의 소설인 ”9월의 4분의 1“이라는 책을 접하게 된 것은 여름방학 기간이었다. 학교를 다니면서 문득, ”내가 마지막으로 책을 읽었던 적이 언제였던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한동안 블로그에 글을 작성하고, 취업 준비를 하고, 사람들을 만나면서 정신없는 시간을 보내다보니, 한동안 책을 전혀 읽지 않았음을 떠올릴 수 있었다.
문득, 이러한 생각이 듦과 동시에 도서관을 방문했다. 책 제목만 보고 대출해서, 시간이 날 때마다 조금씩은 책을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눈에 들어온 여러 권의 책 중에 “9월의 4분의 1“이라는 제목의 책이 눈에 들어왔다.
”오사키 요시오, 9월의 4분의 1“
책 제목인 “9월의 4분의 1”에 단순히 끌려서 책을 집어들게 된 것인데, 한달은 보통, 30일 혹은 31일로 보통 1/3로 나눌 수 있을 것인데, 잘 나누어떨어지지도 않는 숫자인 “4”로 나누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았다. 단순히 이러한 궁금증으로 인해서 접해보게 된 책이다. 물론,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 보고 나니, 자연스럽게 왜 이 책의 제목이 “9월의 4분의 1”인지에 대해서도 이해할 수 있었는데, 책의 마지막 이야기에서 “9월의 4분의 1”에 관한 내용이 담겨있기 때문이다.
”4편의 짧은 단편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는 책“
책에서는 총 4편의 단편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각 이야기의 제목은 아래와 같다.
- 보상받지 못한 엘리시오를 위해
- 켄싱턴에 바치는 꽃다발
- 슬퍼서 날개도 없어서
- 9월의 4분의 1
각각의 단편에 등장하는 주인공은 모두 다른 인물들로 구성이 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주인공은 서로 연결고리도 없는 것 같아 보인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드러나는 이야기의 구성틀은 비슷하다. 주인공이 어딘가로 향하면서 과거에 경험한 일에 관한 회상을 하는 형식으로 이야기가 진행이 된다.
어떠한 장소를 간다거나, 어떠한 물건에 얽힌 이야기를 바탕으로 내용을 풀어나간다. 시간 역시도 현재에서, 과거로, 다시 과거에서 현재로 왔다갔다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역동적인 느낌이 들기도 하면서, 과거의 다음 이야기를 더욱더 궁금하게 만든다. 과거에 있었던 일의 다음 이야기가 궁금해질 때즈음에 다시 현재로 돌아오는 구성으로 인해서, 더욱더 이야기에 몰입이 되는 것 같은 생각이 든다. 또한, 작가는 “여운”을 남기는 것을 좋아하는 것 같은데, 한 편의 이야기를 읽고나면 아쉬움이 남는다. 왠지 그 뒤에 이야기가 더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보상받지 못한 엘리시오를 위해”
첫 번째 이야기인 “보상받지 못한 엘리시오를 위해”는 대학생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그들의 이야기 중심에는 “체스”라는 게임과 “체스를 연구하는 동아리”가 있다. 결국, 스토리는 삼각관계에 처해있는 남녀의 사랑이야기이지만, 그 속에서도 충분히 생각할 거리를 만들어 주는 스토리이다.
“켄싱턴에 바치는 꽃다발”
두 번째 이야기인 ”켄싱턴에 바치는 꽃다발“은 영국인 여자와 일본인 남자가 중심이 되는 이야기이댜. 이 스토리는 “장기“라는 게임이 매개가 된다. 주인공은 ”장기 팬“이라는 잡지의 편집장인데, 자신이 은퇴할 시점이 다가왔다고 생각하고, 은퇴를 결심한 상황에서 독자로부터 편지를 받게 되는데, 이 편지에 얽힌 내용으로 스토리가 흘러간다.
”슬퍼서 날개도 없어서“
세 번째 이야기인 ”슬퍼서 날개도 없어서“라는 이야기는 ”음악“을 소재로 풀어내는 이야기이다. 음악에 얽혀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다.
”9월의 4분의 1“
마지막 이야기이면서, 이 책의 제목인 ”9월의 4분의 1“은 파리에서 만난 어느 인연에 관한 이야기이다. 책의 마지막에는 반전이 기다리고 있는데, “9월의 4분의 1(Quatre-Septembre)”에 관한 내용이 반전으로 나온다. 반전 역시도 소설을 접하는 흥미 요소로 꼽을 수 있는 것이기에 책을 직접 접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사트르트의 실존주의 : 존재와 실존의 차이“
소설 중에는 ”사르트르“의 실존주의에 대해서 다루고 있기도 하다. ”존재“와 ”실존“을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가 되어 있었는데,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등장한다.
- “그래. 어느 대학 강연회에서였는데, ‘실존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나왔었지.“
- ”응. 어떻게 됐는데?“
- ”거기서, 그는 이렇게 대답했어. 예를 들면 지우개라고 하는 것은 미리 그 기능을 예상해서, 그렇게 되도록 설계해서 만들어진다. 그것은 존재이다. 그러나 인간은 그와 달리 예상되는 기능도 설계도도 미리 정해져 있지 않다. 그런 존재를 실존이라 부르기로 한다. 분명히 그랬어.“
“파리에서 찾을 수 있는 9월 4일역(Quatre-Septembre)”
소설에서 등장하는 배경인 파리와 실제 우리가 알고 있는 파리에서 “9월 4일역(Quatre-Septembre)”라는 역을 찾을 수 있다. 아마도 작가는 이러한 파리의 역 이름에서 영감을 얻어서 역 이름과 관련된 작품을 집필한 것이 아닐까 싶다.
서양사의 유럽 절대왕정의 상징은 프랑스로 손꼽힌다. 루이 14세의 극성기 이후, 나폴레옹은 혁명의 미완으로 위기에 빠진 프랑스를 구한 영웅이었지만 스스로 황제가 됨으로써 피 흘린 프랑스 시민들과 혁명정신을 욕되게 하였다. 군주제와 왕정 부활에 멍든 프랑스 시민은 100여 년에 걸친 투쟁 후 나폴레옹 3세를 몰아내고 제3공화국을 탄생시켰다. 1870년 9월 4일의 일이다.
20세기 들어 파리는 지하철역에 ‘카트르 셉탕부르(Quatre-Septembre, 9월 4일)’라는 이름을 지어 이를 기념하였다. 이로써 파리시민들도 프랑스 마지막 세습 군주 나폴레옹 3세를 퇴위시키고 얻어낸 민주공화의 정신과 자부심을 날마다 호흡하게 되었다.
이런 측면에서는 우리나라는 다소 아쉬움이 남기도 한다. 우리나라 역시도 민주주의 발전에 큰 영향을 준 사건들이 다수 있었다. 하지만, 아쉽게도 우리는 “역 이름”에 이러한 날짜를 붙여서 기념을 하지는 않고 있는 현실이다.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지하철역에서 그 날짜를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감수성을 자극하는 단편소설“
“9월의 4분의 1”에 등장하는 모든 소설은 짧다. 그리고, 강한 여운을 남긴다. 짧지만, 강렬하게 감수성을 자극하는 소설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파리에 있는 “9월 4일역”에 영감을 받아서 쓴 소설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파리에 그런 역이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해도, 그 역에 대한 배경지식을 갖추지 못하고 접해도 괜찮은 소설이다.
”참고자료“
- 오마이뉴스 ”9월 4일, 이런 이름의 지하철역이 있다 :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19114
- 중도일보 “[프리즘] ‘9월 4일’을 기억하는 파리 지하철역 : https://m.joongdo.co.kr/view.php?key=20220215010002580
“9월의 4분의 1(Quatre-Septembre)”
- 저자 : 오사키 요시오
- 발행일 : 2006년 9월 26일
- ISBN13 : 9788991312319
- 예스24 : http://app.ac/M3PPB9J13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