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기에 자연스럽게 여러 사람들 속에서 무리를 이루어서 살아간다. 물론, 사람들 각각의 개개인의 성향은 차이가 있고, 사람들의 성격을 규정하는 다양한 이론들이 있다.
비교적 최근에는 “MBTI”가 각광을 받고 있는데, 그 외에도 다양한 이론들이 있다.
”일본에서 진행된 이마에 E쓰기 실험“
일본에서도 사람들의 성격을 규정하고 나누는 것에 많은 관심을 보이는데, 일본의 심리학자인 ”사카이 고우 교수“가 인간의 자의식을 연구하면서 이마에 E를 쓰게 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의 내용은 간단했다. 피실험자로 하여금 이마에 “E”자를 써보도록 지시한 것으로, 실험 결과는 오로지 2가지의 경우밖에 나올 수 없을 것이다.
한 가지는 나를 기준으로 ”E”를 써보이는 것이고, 다른 한 가지는 “나를 바라보는 사람을 기준으로 ” E”자를 써보는 방식이다. 결국, 한 가지는 “E”로 보이는 형태, 다른 하나는 “E”가 좌우로 뒤집힌 형태로 나타날 것이다.
”자신의 방향에서 E를 작성한 경우“
해당 실험에서 자신이 보는 방향에서 “E”를 작성한 경우, 이는 사적 자기의식이 높은 사람으로 규정한다. 이는 타인의 시선을 크게 의식하지 않고 자기 방식대로 행동하는 경향이 높은 사람을 가리킨다.
사적 자기의식이 높은 사람은 “자신이 보는 나”를 우선으로 생각하며, 타인의 시선보다는 자신의 생각이나 신념을 우선시하는 사림이라는 뜻이다.
”타인의 방향에서 E를 작성한 경우“
반대로 ”E“를 다른 사람이 보는 방향으로 작성한 경우, 즉 ”E“를 좌우반전되게 작성한 경우이다. 이 경우는 공적 자기의식이 높은 사람이다.
이는 자신의 주관보다는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해서 행동하는 경향이 높은 사람을 가리킨다. 결국, “타인이 나를 어떻게 생각할까?”, “타인이 나를 어떻게 볼까?”에 대한 신경을 쓰는 부류의 사람들이다. 이러한 부류의 사람들은 주변 상황에 제약을 받고 예민하게 반응하는 편이다.
“대한민국의 경우, 어떠한 부류의 사람들이 많을까?”
EBS에서 방영된 “인간의 두 얼굴”이라는 다큐멘터리에서 과거 이 내용을 보고, 우리나라 거리에서 실험을 진행한 바 있다. 지나가는 행인에게 이마에 “E”라는 글자를 써보도록 지시했다.
응답비율을 살펴보면, 약 70%의 사람들이 “타인이 보는 방향에서 E를 작성“했고, 30%의 사람들이 ”자신이 보는 방향에서“ 이마에 E를 썼다고 한다.
이제는 우리나라 역시도 서구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과거 중진국에서 선진국으로 진입했기에 사회적인 분위기가 점점 바뀌고 있는 추세이기에, 지금 실험을 다시 진행한다면 다른 결과가 나타날 가능성도 있을 것이지만, 기본적으로 과거에는 위와 같은 비율로 나타났기에 “타인의 시선을 중시하는 집단주의”적인 문화가 나타났던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