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WL Magazine Korea

3명이 모이면 집단이 된다 ”3의 법칙“

“삼인성호(三人成虎)”라는 고사서어가 있다. 이는 “3명의 사람이 모이면, 없는 호랑이도 만들어 낼 수 있다.“라는 뜻으로 ”거짓말도 여러 사람이 하면, 곧이 들린다.“라는 뜻을 갖는 말이다.

우리말에서는 특히 “3”과 관련된 것들이 많다. 하늘, 땅, 사람을 의미하는 “천지인”, “입법, 사법, 행정”의 “3권 분립”, 과거, 현재, 미래의 “시제”, 고구려, 백제, 신라 3나라 각축을 이루었던 ”삼국” 등 그 외의 여러 곳에서 “3”이라는 숫자를 활용하는 모습을 쉽게 찾을 수 있다.

“3명이 모이면 집단이 된다?“

EBS에서 방영된 ”인간의 두 얼굴“이라는 프로그램에서는 흥미로운 실험을 진행한다. “몇 명의 사람들이 모이면, 많은 사람들을 낚을 수 있을까?”라는 주제의 실험이다. 다른 말로는 “몇 명이 모이면, 상황을 바꿀 수 있을까?”이다.

이들이 설계한 실험은 몇 명의 사람들이 모여 있을 때, 다수의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이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한 명의 사람이 하늘을 올려다보고 있는 경우, 두 명의 사람이 하늘을 올려다보고 있는 경우, 세 명의 사람들이 하늘을 올려다보고 있는 경우에 다른 사람들의 반응을 지켜보는 것이다.

“한 명의 사람이 하늘을 올려다보는 경우”

단 한명의 사람이 거리에서 하늘을 올려다보는 경우, 이 경우에는 지나가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무관심을 표출했고,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두 명의 사람들이 하늘을 올려다보고 있는 경우”

두 번째 실험에서는 2명의 사람들이 하늘을 올려다보고 있는 상황에서 실험을 진행했다. 이 경우 역시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지나가는 사람들 몇몇 만이 간헐적으로 잠시나마 반응하는 정도에서 그치지 않았다.

“세 명의 사람들이 하늘을 올려다보고 있는 경우”

세 번째 실험에서는 3명의 사람들이 하늘을 올려다보는 상황으로 실험했다. 이 경우에는 지나가던 많은 사람들이 발걸음을 멈추고 하늘을 올려다보는 모습을 보였다.

“3명이 모이면 그룹이 된다.”

왜 3명의 사람이 무언가를 하고 있는 경우에 다수의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었던 것일까? 심리학자들에 따르면, 사람이 3명 모이는 경우 그 때부터 집단으로 인식한다고 한다.

그렇기에 2명이서 무언가를 하는 경우에는 반응하지 않았던 사람들이 3명에는 크게 반응했다는 것이다.

“2005년 지하철 승객 구조 사건”

이제는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지하철에 스크린 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나, 과거에는 스크린 도어가 없는 역도 많았다. 이로 인해서 여러 사건 사고가 벌어지기도 했다.

2005년 지하철 2호선 신당역에서 지하철 객차에 승객이 끼이는 사고가 있었고, 당시 시민들이 보여준 모습은 큰 감동을 일으켰다. 객차에 끼인 승객을 살리기 위해서 승객 모두가 지하철에서 내려서 지하철을 미는 모습을 보였던 것이다.

이러한 모습이 벌어진 것도 결국 3의 법칙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누군가가 지하철을 밀어보기로 제안을 했고, 그의 제안을 따른 2명의 사람들이 더 있었기에 상황이 순식간에 반전되고, 무언가를 함꼐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결국, 사람들이 무언가를 하려면 결국 ”3명“이 필요하다는 것을 드러내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아마도 이러한 내용을 성현들이 알고 있었기에 유독 3과 관련된 속담, 인물 등이 있었던 것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