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WL Magazine Korea

제노비스 사건과 방관자 효과

1964년 3월 13일 금요일 새벽 3시, 뉴욕 퀸스의 큐가든 지역 아파트 앞에서 당시 28세였던 제노비스가 괴한에게 습격을 당했다. 제노비스는 비명을 지르며 도움을 요청했지만, 아파트에서 불빛만 몇 번 켜졌을 뿐 직접적인 도움은 받지 못하고 죽어갔다. 당시 아파트 창문을 통해 제노비스 사건을 목격한 사람은 무려 38명이나 되었지만, 단 한 명도 경찰에 신고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 사건으로 미국 사회는 큰 충격을 받았다. 38명의 목격자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도 신고하지 않았다는 사실에 많은 사람들이 좌절했다.

“제노비스 사건을 설명하는 심리학자 빕 라타네(Bibb Latane)의 실험“

많은 사람들이 범죄 현장을 목격했음에도 불구하고 신고를 한 사람은 한 사람도 없었다는 사실을 두고 원인을 찾아내기 위해서 심리학자인 “빕 라타네와 존 달리는 실험을 기획하고 진행한다. 실험의 결과, 그는 이러한 현상을 두고 ”방관자 효과(Bystander Effect)”라고 이름지었다.

“방관자 효과 : 목격자가 많은수록 책임감이 분산되어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돕지 않게 된다.”

방관자 효과는, 목격자가 많은수록 다른 누군가가 신고하거나 도와주겠지라는 생각을 하게 되어, 다른 사람에게 책임을 미루는 현상이다. 결국, 이는 범죄 사건이나 안 좋은 사건의 목격자가 많은 경우 오히려 도움을 받을 확률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방관자 효과를 알아보는 실험 1“

EBS 다큐멘터리 ”인간의 두 얼굴“이라는 프로그램에서도 이 실험을 재현했다. 3번에 걸쳐서 실험을 진행했으며, 첫 번째 실험은 아래와 같다.

한 방에 서로 모르는 5명의 사람을 몰아넣고 서로의 얼굴을 확인할 수 없도록 한다. 그런 다음 출제자가 들어가서 문제지를 나누어주고 15분간 문제를 풀도록 지시한다. 출제자는 방을 나가고, 문 앞에서 큰 소리를 내며 쓰러지며 아픈 소리를 낸다.

해당 실험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출제자를 도와주지 않았다. 87%의 참가자들이 그를 돕지 않았고, 15분간 묵묵히 문제를 풀고 있던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

“방관자 효과를 알아보는 실험 2”

두 번째 실험에서는 방법을 달리해서 방 안에 혼자두고 문제를 풀게 한다. 같은 방식으로 출제자는 문제지를 배부하고 나가며, 문 앞에서 큰 소리를 내며 신음소리를 내며 쓰러진다.

이 경우에는 피실험자 전원이 출제자를 도와주었다고 한다. 혼자만 그 사실을 알게 되었다는 책임감이 피실험자들을 움직이도록 한 것이다.

“방관자 효과를 알아보는 실험 3”

세 번째 실험은 이전의 실험과 달리 장소를 옮겨서 거리에서 진행이 되었다. 한 사람이 길에서 책을 들고가다가 책을 떨어뜨린다. 지나가는 사람들이 이를 보고, 도와주는지 도와주지 않는지를 확인하는 실험이다.

1명이 지나가는 경우, 2명이 지나가는 경우, 3명-5명이 지나가는 경우, 6명 이상이 지나가는 경우, 각각의 경우에 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해서 사람들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한 명이 지나갈 때, 책을 떨어뜨린 경우에 도와주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해당 실험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 1명이 지나갈 경우 도와주는 확률 : 82%
  • 2명이 지나갈 경우 도와주는 확률 : 38%
  • 3-5명이 지나갈 경우 도와주는 확률 : 15%
  • 6명 이상이 지나갈 경우 도와주는 확률 : 0%

”방관자 효과를 무력화시킬 수 있는 방법“

목격저가 많은 경우에 오히려, 위험에 처한 경우에 도움을 받기 어렵게 될 수 있다. 어려운 상황에 처한 경우 방관자 효과에서 벗어나려면 어떻게 할 수 있을까?

위험에 처한 자신을 지켜보는 사람 중에서 한 명을 골라서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한 명을 지칭하는 대상은 구체적일 수록 더 좋다. 대부분의 경우, 이름을 알 수 있는 경우가 아니기에 “… 색상의 옷을 입은 남성분, 도와주세요.” 혹은 “경찰에 신고해주세요.” 등의 구체적인 내용을 전달하는 방법을 통해서 방관자 효과를 무력화시킬 수 있다.

여러 사람 사이에서 지목을 당하게 되면, 책임이 결국 한 사람에게 몰리게 되기에,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도움을 줄 확률이 높아진다. 실제로 위의 3번째 실험에서도 여러 사람이 지나가는 경우, 특정한 한 사람을 지칭해서 도움을 요청하는 경우 많은 사람들이 도움을 주었다.

“다양한 방관자 효과 사례”

방관자 효과는 실제로도 자주 일어난다. 제노비스 사건으로 인해서 이러한 효과가 가장 잘 알려졌지만, 그 이외에도 많은 사건이 있었다. 아래와 같은 사건들이 방관자 효과의 예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2008년 6월 19일 : 미국 킹스 카운티 병원 사망사건
  • 2007년 10월 7일 : 스페인 바르셀로나 지하철 소녀 폭행사건
  • 2003년 5월 9일 : 대한민국 서울 지하철 5호선 군자역 폭행 사건

방관자 효과는 우리 주변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일이고, 자신이 피해자가 될 수도 있기에, 방관자 효과를 끼뜨릴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미리 접해두면, 좋지 않은 상황에 처했을 때 도음을 받을 수 있는 확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반대로 대중의 입장에서도 방관자 효과라는 심리 상태에 휘말리기보다는 위험에 처한 사람을 보면, 적극적으로 경찰에 신고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서 도울 수 있도록 행동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제노비스 사건의 진실”

방관자 효과라는 심리실험의 결과는 제노비스 사건에서 시작되었으나, 이후 제노비스 사건은 조작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졌다.

기사에서는 38명이나 되는 목격자들이 제노비스를 외면한 것으로 보도했지만, 실제로 대다수의 주민들은 바깥 상황을 볼 수 없어서 단순히 주정꾼의 싸움으로 여겼다고 하며, 제노비스가 시렞로 처한 상황을 재대로 알았지만, 이를 외면한 주민은 보도와 달리 단 3명뿐이었다고 한다.

또한, 사건은 새벽 2시경에 벌어졌고, 제노비스는 두번에 걸쳐 공격을 당하고 비명과 함께 쓰러졌으나, 이내 다시 일어나 비틀거리며 근처 건물로 들어갔고, 그 후 다시 돌아온 범인에게 공격을 받아 살해당했다. 마지막 공격을 목격한 사람은 자시가 무엇을 보았는지 이해하지 못할 정도로 만취한 단 한명이었다고 한다. 여기에 첫 번째 공격을 받은 장소와 두 번째 공격을 받은 장소가 달랐기에 사건의 전체를 목격한 사람은 단 한명도 없는 셈이 되었다.

결정적인 사항으로 경찰에 신고한 사람이 있었다고 한다. 심지어 신고자 중에 한 명은 경찰로부터 신고확인증까지 받아 증명까지 했다고 한다. 목격자 중 두명은 제노비스를 보고 경찰에 신고했으며, 한 사람은 제노비스를 공격하는 범인을 향해 그만두라고 고함을 지르기까지 했다는 것이다.

여기에 또 한명의 목격자인 고령의 가정주부는 뛰어나가서 엠뷸런스가 올때까지 피해자를 보호했다고 한다. 결국, 이 사람은 마을 주민들에게 영웅으로 대접을 받았다고 한다. 하지만, 병원으로 이송되던 피해자는 결국 병원으로 이송도중에 사망하고 말았다.

결국, 제노비스 사건의 진실은 최초에 알려진 내용과 차이가 있지만, 이로 인해 진행된 심리 실험에서 밝혀진 ”방관자 효과“에서는 유사한 결과가 나오는 것으로 실험이 진행되었기에, 방관자 효과에서 벗아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둔다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